용어 정리

스톡홀름 증후군 용어 정리 하편 (납치범과 사랑에 빠진 인질)

Gungang 2021. 7. 26. 20:17
반응형

스톡홀름 용어의 유래에 대해서 상편에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다른 유형의 예시들을 살펴보면서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예시는 더 이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메리 맥켈로이는 1933년 25세 때 총을 겨누어 그의 집에서 괴한 네 명에게 납치된 뒤로 괴한들은 그녀를 버려진 농가로 데려가 벽에 묶어놨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녀는 풀려났을 때 그의 납치범을 변호했고 심지어 자신을 납치하고 벽에 묶었던 이들을 단지 사업가라고 경찰에 설명했습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일인데 실제로 벌어난 일입니다.

 

하지만 재판부는 이러한 괴한들에게 법의 심판을 내렸고, 감옥에 수감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이러한 괴한들이 감옥에 있는 동안 계속해서 방문해서 그들을 만났다고 합니다.

 

심지어 최후에 결국 그녀는 스스로 생을 마감한 뒤에 다음과 같은 메모를 남기게 됩니다.

 

저를 납치하고 가두었던 괴한 4명은 세상에서 유일하게 아마 제가 완전히 바보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일 겁니다. 부디 그들에게 자비를 내리길 원하며 사형 판결을 받았더라도 그들에게 다시 한번만 기회를 주시길 간절히 청합니다.

 

기만 해도 실제로 일어난 일일까 생각이 들게 하는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시절에는 이러한 사건을 정리하는 용어가 없어서 그냥 넘어갔지만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만들어 진 뒤로 이 사건은 전형적인 스톡홀름 증후군의 예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그러면 이 사건 외에 다른 사건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패티 허스트 출판사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의 손녀 패티 허스트는 1974년 도시속 게릴라 전문 조직인 심비오네스 해방군에 인질로 잡혔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녀는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겪은 뒤에 가족과 경찰들을 비난하기 시작했는데 본인에 본래 이름을 개명한 새 이름 타니아로 비난을 시작했습니다.

 

심지어 더 나아가 그녀는 범죄자의 길을 걷게 되는데 머나먼 나중에 SLA와 공조해 샌프란시스코 은행강도 행각을 벌이는 모습이 목격됩니다. 그녀는 SLA와 그들의 추구에 대한 동정을 공개적으로 주장했습니다.

 

1975년 그녀가 체포된 후 스톡홀름 증후군의 변호는 법정에서 적절한 변호가 아니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그녀의 변호사에게 있어서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었습니다.

 

어떻게든 변호인을 책임져야 하는 변호사 입장에서는 재앙에 가까운 일이었으며, 리 베일리는 이후 징역 7년을 선고받고 수감 생활을 시작했으나 추후에 결국 빌 클린턴 대통령으로부터 사면됐으며 더이상 자유 의지대로 행동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며 사건은 종결되었다고 합니다.

 

세번째 실제 유형의 예시로는 성적 학대의 피해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동성적학대 피해자 일부가 학대자와 관련이 있다고 느끼는 증거가 있습니다.

 

이들은 종종 어른들의 주의를 끌거나 폭로가 가족의 혼란으로 이어질 것을 두려워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참고 버티다가 추후에 어른이 되면 감정적, 개인적인 이유로 공개를 결국 거부합니다.

 

리마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스톡홀름 증후군에서 파생된 용어 중 하나입니다.

 

납치범이 인질들을 동정하는 스톡홀름증후군을 역전시킨 리마증후군이 발의됐다.

 

유괴범들은 피해자에 대한 생각과 공감도 체험할 수 있다. 기존에 있던 스톡홀름 증후군은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감정 이입을 해서 오히려 가해자들을 옹호해주는 식의 감정 전이였다면 리마 증후군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감정 이입하는 반대 사례입니다.

 

리마증후군은 1996년 페루 리마 일본대사관에서 열린 파티에서 한 무장단체 회원이 수백 명을 인질로 잡은 뒤 처음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라마 증후군은 사실 입장만 바뀐 것일 뿐 사실상 스톡홀름 증후군에서 종류만 다른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공식 정의에 따르면 피해자들은 범인에 대해서 긍정적 감정을 느끼며 그들의 원인과 목표에 대한 열망을 동정하게 되며 이러한 그들의 투쟁에 관련된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는 과정에서 경찰이나 당국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증상들을 몇몇 피해자들은 빨리 잊고 털어내고 일어나지만 가끔 오랜 시간 망상에 빠져서 오랜 시간 스톡홀름 증후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피해자들도 많다고 합니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심리학 치료가 워낙 세분화 되었고 증상을 자세히 파악하는 기술들이 많아져서 이런 증상들은 빠르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불과 몇십년 전만 해도 이런 증상들이 있었다는 걸 생각하면 심리학의 길은 아직도 무궁무진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