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손실회피편향2

손실회피편향 용어 정리 하 (사람은 200원 버는 것보다 10원 잃는거에 더 슬퍼합니다) 손실회피편향 용어와 관련있는 기타 용어들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부 효과 역시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용어입니다. 인간은 손실과 이득에 대한 비대칭적인 사고 방식을 갖도록 진화 과정에서 자라왔습니다. 태초에 생존 방식에 따른 진화적 압력에 의해 손실을 싫어하도록 고정돼 있다고 이론돼 있습니다. 원시 시대 극한의 생존 방식에 있어서는 조그만 손실도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기에 생존이 무척이나 어려운 절벽 끝에 가까운 유기체에게 있어서 단 하루의 혹은 단 한끼의 음식이라도 손실하는 것은 단순한 손실이 아닌 죽음에 이르는 결과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우리가 극한의 생존 방식에서 한끼를 잃는 것은 죽음과도 연결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하루치의 식을 얻음으로써 우리.. 2021. 7. 28.
손실회피편향 용어 정리 상 (100원 버는것보다 50원 잃는게 더 슬프다) 손실 회피편향은 경제 심리학 용어를 대표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경제 활동을 하는 중 사람이 항상 갖게 되는 현상인데 이러한 손실회피현향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동등한 이익을 얻기보다 손실을 피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경제학 분야에서 이러한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는 본능적인 손실 회피와 위험 회피를 구별하는 것은 사실 같은 금액의 금전적 이익이 주는 만족감보다 손실함에 있어서 따라오는 상실감이 더 크게 오기 떄문입니다. 몇몇 연구는 손실이 심리적으로 이러한 손실에 대한 상실감과 불만족감이 같은 금액을 벌어들이는 것보다 두배 넘게 나쁜 감정을 갖게 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즉 정리하자면 사람은 기본적으로 같은 금액을 벌어들일 때 보다 손실했을 때 더 큰 상실감과 피해 의식을.. 2021.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