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로 원리 용어란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많은 창업가가 여러 벤처 기업을 만들어서 수입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창업가는 회장이 되고 더 큰 성공을 거두게 됩니다.
이렇게 큰 성공의 기회를 맞보기 위해선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통로 원리는 이처럼 사업이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다양한 시각과 각도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표면적으로 보이는 외부의 요인들만 성공의 요소로 보는게 아닌 내부에 들어가서 쉽게 볼 수 없는 내부의 다양한 변화 요소들 까지 통틀어서 아우러져 봐야지만 확실한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부를 뜻하는 통로 즉 통로 안까지 들어가서 살펴보고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확실하게 봐야지만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가들은 회사를 만들어서 산업에 몰두하고 몰입할 경우 직접적인 수입을 안겨주는 외부 성공 요소와 요인들만 바라보게 되는 경우가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내부 통로에 들어가서 직접적인 내부 요인과 성공 요소들을 살펴보면 기존에 산업들을 넘어서 더 다양한 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고, 더 많는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밥슨 대학교의 로버ㅡ 론슈타트 교수는 통로 원리에 대해서 이렇게 정리합니다.
통로 원리는 벤처 초창기의 창업에만 치중한 단순 행위를 넘어서 통로 원리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에는 생각도, 상상도 하지 못했던 다른 벤처 기업으로 변화를 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원리라고 정의합니다.
실제로 로버트 론슈타트 교수는 1980년에 가르치는 학생들 중 MBA프로그램을 배우고 졸업했던 졸업생을 대상으로 추후 학교를 졸업한 뒤에 어떤 직업을 택할 지에 대해서 12년을 넘게 연구했습니다.
이러한 졸업생들은 통로 원리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졸업한 학생들이었습니다.
역시나 이러한 원칙들을 머릿속에 담고 있는 졸업생들은 졸업 후 벤처 기업을 창업한 뒤 성공적으로 통로 원리를 적용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그들은 초창기 벤처 기업을 창업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와 연관되는 복수의 벤처 기업들을 연달아 창업했고 이러한 시도들은 대부분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여러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좋은 예시로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바로 신흥시장에 진출하려는 시도입니다. 신흥 시장은 본질적으로 많은 기회와 가능성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어떠한 형태로든 시장에 참가해서 현지 시장 기회를 찾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지도 모릅니다. 때로는 처음으로 주어진 기회들이 성공까지 이어지지 않고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시장의 요소들이 매력적이지 않아서 쉽게 진입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렇더라도 단순히 외부의 매력적인 시장을 개척하는 것만으로는 성공의 기회를 찾을 수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통로 원리를 적용하면 일단 창업을 한 뒤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노선에 진입하는 것이 더 크게 성공하는데 있어서 쉬운 방법일 수 있습니다.
이런 원칙이 적절하게 적용되려면 기업 내에서 과감한 도전을 꾸준히 시도해야 하며 초반에 항상 다가오는 참담한 실패를 견뎌내는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합니다. 실패에서 교훈을 얻는 능력도 있어야 한다.
소니의 창업자인 마사루는 처음부터 제품을 만들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창사 이래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뒤에야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이와 같은 도전과 시도 그리고 정신이 바로 지금 말하는 소니의 창업 비법이라고도 불려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 속에는 우리가 말해온 통로 원리가 완벽하게 작용했다고 합니다.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뮌하우젠 증후군 용어 정리 하편 (거짓말을 해야 살 수 있는 사람들) (0) | 2021.07.21 |
---|---|
뮌하우젠 증후군 용어 정리 상편 (거짓말에 중독된 사람들) (0) | 2021.07.21 |
앵커링 이펙트 용어 정리 (마트의 상술에서 벗어나는 방법) (0) | 2021.07.20 |
스탕달 신드롬 용어 정리 (예술 작품을 보면 구토가 올라오는 이유) (0) | 2021.07.19 |
콜 금리 정리 (0) | 2021.07.19 |
댓글